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초기 이유식 (생후 4~6개월)

by 소소새댁 2020. 5. 21.
반응형
이유식 초기는 미음 상태의 죽을 꿀떡꿀떡 삼키는 수준이다. 음식을 삼키는 단계에서 조금 더 발전하면 혀와 잇몸으로 음식을 오물오물 으깨어 먹는다.

 

하루에 얼마나 먹을까?

  생후 4개월 생후 5개월 생후 6개월
1일 수유 횟수   5~6회   5~6회   4~5회
1회 수유량   180~210ml   180~210ml   180~210ml
1일 이유식 횟수   30~50g 1회   40~50g 1회   50~70g 1~2회
이유식 형태   쌀미음   미음   죽
 이유식 재료   곡류, 채소류   곡류, 채소류   곡류, 채소류, 닭 가슴살

 

초기 이유식 진행 포인트

  • 음식을 뱉어내지 않으면 시작한다 - 엄마 젖이나 분유만 먹던 아이는 액체 이외의 것이 입에 들어오면 본능적으로 혀를 내밀어 뱉어버린다. 이는 숨 막힘을 방지하려는 일종의 신체 방어 기제인데, 이러한 반사작용은 생후 4개월을 전후로 점차 사라진다. 숟가락이나 음식을 아이 입에 넣었을 때 혀를 내밀어 뱉어내지 않으면이유식을 시작할 수 있다는 신호이다. 억지러 먹이려 하면 오히려 음식에 대해 나쁜 인식만 하게 되어 계속 이유식을 거부할 수 있다. 이유식의 적정 시작 시기는 4개월이지만 6개월 이전에만 시작하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조급해하지 말고 아이가 먹으려 할 때까지 기다린다.

  • 첫 이유식은 쌀미음으로 시작한다 - 쌀을 우리에게 가장 친숙하고 알레르기 위험이 낮으며 소화가 잘되는 식재료이다. 맛과 향이 자극적이지 않아 다른 이유식 재료를 더해 먹이기에도 좋으므로 첫 이유식 재료로 제격이다. 쌀을 이용한 첫 이유식은 숟가락으로 떠서 기울였을때 내용물이 주르륵 흐르는 수프 정도의 농도가 알맞다. 일주일 단위로 물의 양을 조금씩 줄이면서 이유식 농도를 걸쭉하게 해나간다. 한 달쯤 후에는 묽은 죽 농도의 이유식을 먹을 수 있다.

  • 일주일 단위로 첨가하는 채소를 바꿔준다 -  아이가 쌀미음을 무리 없이 잘 먹는다면 일주일 후부터는 채소를 첨가할 수 있다. 이때 활용하기 좋은 채소는 감자, 오이, 애호박 등이다. 향이 강하지 않고 섬유질이 적어 소화 흡수가 잘되기 때문. 단, 한번에 한 가지 재료만 섞는다. 그래야 아이의 장이 새로운 음식에 적응할 시간을 가질 수 있고, 알레르기가 나타났을 때 원인 식품을 쉽게 가려낼 수 있다. 처음 한 달이 지나면 주기를 일주일 단위에서 2~3일로 바꾸어도 좋다.

  • 생후6개월부터는 이유식 횟수를 2회로 늘린다 -  이유식을 시작하는 첫 달에는 1일 1회, 거의 정해진 시간에 먹는 습관을 들인다. 그러다가 생후 6개월이 되면 이유식 횟수를 하루 2회로 늘린다. 아이가 한 번 먹을 때 많은 양을 먹었다고 해서 두 번째도 같은 양을 먹이는 것을 금물이다. 아이의 소화 기관은 아직 불완전하므로 2회식을 시작 할 때도 신중해야 한다. 한 숟가락부터 먹이기 시작해 아이가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차츰 양을 늘려나간다.

  • 모든 재료는 데쳐서 사용하고, 간은 절대 하지 않는다 - 아이의 장기는 어른 장기에 비해 미숙하다. 재료를 잘못 섭취하면 구토나 설사를 일으킬 수 있어 어떤 재료든 데쳐서 섬유질을 부드럽게 한 뒤 조리해야 한다. 소금이든 간장이든 간은 전혀 하지 않는다. 간한 음식은 이 시기 아이의 미성숙한 신장에 부담을 주고, 재료 고유의 맛을 느끼지 못하게 한다. 이뿐 아니라 간이 센 이유식을 먹은 아이는 일찍부터 짠맛과 단맛에 길들여져 커서도 자극적인 맛만 찾을 가능성이 높다.

  • 이유식 후에는 물을 먹인다 - 아이가 이유식을 다 먹은 후에는 물을 몇숟가락 떠먹여주는 것이 좋다. 아직 이가 나지 않아 본격적인 양치질을 필요 없지만, 입속에 남은 음식 찌꺼기를 씻어내야 입안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유식 농도가 묽으므로 끓여서 식힌 보리차나 정수기 물을 한 숟가락 먹이기만 해도 씻겨 나간다.

 

이 시기에 알맞은 이유식

 

쌀미음

재료 불린 쌀 15g, 물 1컵

  1. 불린 쌀은 분쇄기에 곱게 간다.

  2. 냄비에 ①의 쌀가루를 넣고 분량의 물을 부어서 센 불에서 끓이다가 부르르 끓어오르면 불을 약하게 줄여 쌀이 푹 퍼지도록 끓인다

  3. ②를 고운체로 거른다.

고구마미음

재료 불린 쌀 15g, 고구마 10g, 물 1컵

  1. 불린 쌀은 분쇄기에 곱게 갈아 물을 붓고 미음을 끓인다.

  2. 고구마는 무르도록 삶아 껍질을 벗긴 후 손절구로 곱게 으깬다.

  3. ①의 미음에 ②의 고구마를 넣고 푹 끓인 뒤 고운체로거른다.

바나나미음

재료 불린 쌀 15g, 바나나 10g, 물 1컵

  1. 불린 쌀은 분쇄기에 곱게 갈아 물을 붓고 미음을 끓인다.

  2. 바나나는 껍질을 벗긴 후 손절구로 곱게 으깬다.

  3. ①의 미음에 ②의 바나나를 넣고 푹 끓인 뒤 고운체로 거른다.

감자미음

재료 불린 쌀 15g, 물 1컵

  1. 불린 쌀은 분쇄기에 곱게 간다.

  2. 냄비에 ①의 쌀가루를 넣고 분량의 물을 부어서 센 불에서 끓이다가 부르르 끓어오르면 불을 약하게 줄여 쌀이 푹 퍼지도록 끓인다

  3. ②를 고운체로 거른다.

단호박미음

재료 불린 쌀 15g, 단호박 10g, 물 1컵

  1. 불린 쌀은 분쇄기에 곱게 갈아 물을 붓고 미음을 끓인다.

  2. 단호박은 껍질을 벗기고 씨를 제거한 후 삶아 손절구로 곱게 으깬다.

  3. ①의 미음에 ②의 단호박을 넣고 푹 끓인 뒤 고운체로 거른다.

사과미음

재료 불린 쌀 15g, 사과 10g, 물 1컵

  1. 불린 쌀은 분쇄기에 곱게 갈아 물을 붓고 미음을 끓인다.

  2. 사과는 껍질을 벗긴 후 강판에 곱게 간다.

  3. ①의 미음에 ②의  넣고 푹사과를 넣고 푹  끓인 뒤 고운체로 거른다.

양배추미음

재료 불린 쌀 15g, 양배추 10g, 물 1컵

  1. 불린 쌀은 분쇄기에 곱게 갈아 물을 붓고 미음을 끓인다.

  2. 양배추는 딱딱한 부분을 잘라내고 앞만 끓는 물에 데쳐 손절구로 으깬다.

  3. ①의 미음에 ②의 양배추를 넣고 푹 끓인 뒤 고운체로 거른다.

감자오이미음

재료 불린 쌀 15g, 감자 10g, 오이 5g, 물 1컵

  1. 불린 쌀은 분쇄기에 곱게 갈아 물을 붓고 미음을 끓인다.

  2. 감자는 무르도록 삶아 껍질을 벗긴 후 손절구로 곱게 으깬다.

  3. 오이는 껍질을 벗긴 후 강판에 곱게 간다.

  4. ①의 미음에 ②의 감자와 ③의 오이를 넣고 푹 끓인 뒤 고운체로 거른다.

바나나당근미음

재료 불린 쌀 15g, 바나나 10g, 당근 5g, 물 1컵

  1. 불린 쌀은 분쇄기에 곱게 갈아 물을 붓고 미음을 끓인다.

  2. 바나나는 껍질을 벗긴 후 손절구로 곱게 으깬다.

  3. 당근은 껍질을 벗긴 후 강판에 곱게 간다.

  4. ①의 미음에 ②의 바나나와 ③의 당근을 넣고 푹 끓인 뒤 고운체로 거른다.

콜리플라워미음

재료 불린 쌀 15g, 콜리플라워 10g, 물 1컵

  1. 불린 쌀은 분쇄기에 곱게 갈아 물을 붓고 미음을 끓인다.

  2. 콜리플라워는 줄기를 잘라내고 끓는 물에 데쳐 손절구로 으깬다.

  3. ①의 미음에 ②의 콜리플라워를 넣고 푹 끓인 뒤 고운체로 거른다.

배당근미음

재료 불린 쌀 15g, 배 10g, 당근 5g, 물 1컵

  1. 불린 쌀은 분쇄기에 곱게 갈아 물을 붓고 미음을 끓인다.

  2. 배는 껍질을 벗겨 씨를 제거하고, 당근은 껍질을 벗긴 후 각각 강판에 곱게 간다.

  3. ①의 미음에 ②의 배와 당근을 넣고 푹 끓인 뒤 고운체로 거른다.

브로콜리사과미음

재료 불린 쌀 15g, 브로콜리.사과 5g씩, 물 1컵

  1. 불린 쌀은 분쇄기에 곱게 갈아 물을 붓고 미음을 끓인다.

  2. 브로콜리는 줄기를 잘라내고 끓는 물에 데쳐 손절구로 으깬다.

  3. 사과는 껍질을 벗긴 후 강판에 곱게 간다.

  4. ①의 미음에 ②의 브로콜리와 ③의 사과를 넣고 푹 끓인 뒤 고운체로 거른다.

검은콩배미음

재료 불린 쌀 15g, 검은콩.배 10g씩, 물 1컵

  1. 불린 쌀은 분쇄기에 곱게 갈아 물을 붓고 미음을 끓인다.

  2. 검은콩은 반나절 불린 후 끓는 물에 삶아 껍질을 벗기고 손절구로 곱게 으깬다.

  3. 배는 껍질을 벗긴 후 강판에 곱게 간다.

  4. ①의 미음에 ②의 검정콩과 ③의 배를 넣고 푹 끓인 뒤 고운체로 거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