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만 전 이상 증세
지연임신
출산 예정일에서 2주기 지나도 진통이 없으면 지연 임신이다. 임신 만 40주부터는 태반의 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분만이 늦어질 경우 태아는 모체로부터 영양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한다. 따라서 태아곤란증, 자궁 안 태변 빈도 증가, 저혈당증, 저체온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대개의 경우 42주 전에 유도분만을 실시하며, 태아의 상태가 좋지 않다면 제왕절개로 분만을 해야 한다.
조기 파수
진통이 오기 전 양수가 터지는 것, 임신부 5명 중 1명이 겪을 만큼 흔하다. 터진 양막을 통해 세균에 감염될 수 있으므로 질을 씻지 말고 패드만 댄 채 빨리 병원에 간다. 파수가 되면 최대한 빨리 분만을 진행해야 하는데, 진통이 없으면 유도분만을 한다. 파수된 지 24시간 안에 분만이 어려우면 대부분 제왕절개를 한다.
- 분만 중 이상 증세
미약 진통
진통이 미약하거나 처음에는 잘 진행되다가 도중에 진통이 약해져 분만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힘든 경우를 말한다.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힘든 경우를 말한다. 다태아 임신이나 양수과다증 또는 거대아 등으로 자궁이 지나치게 커져 자궁 근육이 늘어난 경우, 자궁 기형이나 발육 부전, 고령 출산 등이 원인이다. 태아의 위치가 정상이 아니거나, 자궁경부가 너무 딱딱한 경우에도 분만 시간이 길어지면서 나타날 수 있다. 임신부가 지나치게 긴장하거나 수면 부족일 경우에도 진통이 미약할 수 있는데, 이때는 진정제 등을 투여해 안정을 취하게 한 뒤 다시 시도한다. 이렇게 조치했는데도 계속해서 진통이 진행되지 않으면 촉진제를 주사해 유도분만을 시도하거나 제왕절개를 한다.
태반조기박리
태반은 분만 후 자궁으루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오는 게 정상이지만, 임신 7개월 이후나 분만 도중 갑자기 자궁에서 분리되는 경우가 있다. 이를 태반조기박리라고 하며 매우 응급 상황이다. 태아가 나오기 전에 태반이 자궁벽에서 먼저 떨어지면 그 자리에서 출혈이 일어나며, 자궁이 수축돼 격심한 통증이 나타나고, 맥막이나 호흡이 빨라진다. 또 태아는 모체로부터 공급받던 산소가 끊겨 심하면 자궁내에서 사망할 수도 있다. 임신중독증이 심하거나 고령 임신인 경우, 출산을 앞두고 하복부에 강한 충격을 받았을 때도 일어날 수 있는데, 임신부 150명 중 1명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 파열
분만 중 수축하는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자궁이 찢어지는 것을 말한다. 자궁이 찢어지면 태아가 자궁 밖으로 튀어나가는데, 이 경우 대부분 사망한다. 산모도 심한 내출혈로 쇼크 상태에 빠져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제왕절개나 자궁 수술을 한 임신부가 무리하게 자연분만을 시도할 때 나타난다. 자궁 수술 경험이 있는 임신부는 진통이 오기 전에 자궁이 파열될 수 있으므로 임신 후기에도 주의를 기울인다.
태아 절박가사
갑자기 태아의 심음이 급격히 떨어지는 증상이다. 태아의 혈액에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데, 심하면 태아가 사망할 수 있고 출산 후에도 뇌나 장기에 장애가 나타나기 쉽다. 과숙아, 임신중독증, 태아의 위치 이상, 탯줄의 압박 등이 원인이다. 분만 시간이 지연되어 태아 머리가 골반 내에서 장시간 있을 경우에도 일어난다. 이 경우 산모에게 산소를 흡입시켜 인위적으로 태아에게 산소를 공급한다. 겸자분만이나 흡입분만을 시도해보고 심하면 제왕절개를 한다.
양수색전증
분만 중 양수가 산모의 혈관 속으로 들어가 혈관이 막히는 증세로 예측할 수도, 예방할 수도 없어 더욱 위험하다. 임신부 8000~3만 명당 1명에게 발생할 정도로 드문 증세이지만, 사망률이 60~70%로 매우 높다. 진통 중에는 물론이고 제왕절개 도중이나 분만 직후에도 생길 수 있다. 혈관 속으로 들어간 양수에 태변이 섞여 있으면 더욱 위험하다.
- 분만 중 이상 증세
자궁 이완 출혈
태아와 태반이 모두 나온 후에도 자궁 수축이 이루어지지 않고 출혈이 멈추지 않는 상태, 태반이 밖으로 나오면서 분만이 완료되면 자궁이 급속도로 수축해 혈관을 압박하기 떄문에 저절로 지혈되지만, 자궁 수축이 정상으로 이뤄지지 않으면 자궁벽에서 1000cc 이상 출혈이 계속 된다. 거대아나 쌍둥이 출산, 양수과다증 등으로 자궁벽이 지나치게 늘어났을 때 주로 발생한다. 한꺼번에 많은 양의 피가 쏟아져 나오는 경우 대부분이지만, 간혹 적은 양의 출혈이 끊이지 않고 계속되는 경우도 있다. 고령 임신부나 분만 횟수가 많은 경산부에게 일어나기 쉬우므로 이에 해당한다면 더욱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인다.
분만 후 2시간은 자궁 이완 출혈을 비롯한 분만 트러블이 나타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때이다. 적어도 그때까지는 긴장의 끈을 놓지 말고 몸 상태를 세심하게 살핀다.
태반 유착
아기가 나오고 5~10분 정도 지나면 태반이 나오면서 분만 과정이 끝난다. 이때 태반이 나오지 않으며 출혈이 계속되는 경우 태반 유착 가능성이 높다. 태반 유착은 태반의 융모가 자궁의 근육층에 침임해 태반의 일부나 태반 전체가 자궁벽에서 떨어지지 않는 것이다. 임신 중절, 자궁 내 유착 또는 제왕절개의 경험이 있거나 6회 이상 아기를 출산한 경우, 선천적으로 자궁내막에 문제가 있거나 자궁이 기형인 경우에 발생한다. 태반 유착으로 판단되면 의사가 자궁에 직접 손을 집어넣어 강제로 태반을 끄집어내는데, 남아 있는 태반이 자궁 속 깊숙이 있을 때는 수술을 해서 태반을 꺼내야 한다. 유착 정도가 심하고 출혈이 많은 경우에는 자궁 적출 수술을 해야 한다.
자궁경관 열상
태아가 나오면서 자궁경관에 큰 상처를 내어 출혈이 멈추지 않는 증상을 말한다. 보통 분만 과정엣 자궁경관에 많은 상처가 나는데, 작은 상처는 저절로 출혈이 멎고 아문다. 문제는 크고 출혈이 많은 상처다. 안 그래도 피를 많이 흘린 산모가 추가로 출혈을 하기 떄문. 갑자기 많은 출혈이 있을 때는 더욱 위험하다. 이때는 지혈을 하면서 상처 부위를 봉합한다. 자궁 근육의 탄력이 나쁘거나 아기의 출산 자세에 문제가 있는 경우, 출산이 급격하게 진전된 경우, 거대아인 경우, 자궁경관과 회음부의 탄력이 좋지 않은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 인공 중절 수술 시에도 생길 수 있다.
탯줄 트러블도 태아를 위험에 빠트릴 수 있다
- 탯줄권략
탯줄 길이는 보통 50cm 정도. 이보다 긴 경우는 과장탯줄, 짧으면 과단탯줄이라고 한다. 과장탯줄의 경우 탯줄이 태아의 발이나 손에 감겨 심하게 조여서 혈행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과단탯줄은 출산 중 탯줄이 쨍쨍히 당겨져 태아의 심장박동을 불안하게 한다.
- 탯줄탈출
태아보다 탯줄이 먼저 나오는 증상. 탯줄이 태아와 산모 사이에 끼어 혈행 장애를 일으킨다. 심한 경우 저산소증이 되어 태아가 사망하는 원인이 된다.
- 탯줄양막부착
탯줄이 태반이 아닌 양막에 붙어 있는 상태. 태아는 순조롭게 발육하지만, 분만할 때 양수와 함께 양말 부분의 현괄이 터지면서 태아가 갑자기 사망할 수 있다.
'출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과 출산으로 변화하는 자궁과 질의 변화 몸의 변화 (0) | 2022.08.20 |
---|---|
분만에 관한 궁금증! 진통이 시작되었을 때, 분만 대기실에서 궁금증 (0) | 2022.08.20 |
브이백 성공하기 브이백의 모든 것 VBAC 제왕절개 수술 후의 자연분만 (0) | 2022.08.18 |
출산 전신마취와 경막외마취(무통분만)의 차이점 (0) | 2022.08.18 |
제왕절개의 모든것 예정 제왕절개하는 경우, 응급 제왕절개, 제왕절개 과정 (0) | 2022.08.17 |
댓글